[박도 기자]▲ 김대중 망명일기 김대중 망명일기 표지ⓒ
sans339
2025.07.28 02:18
41
0
본문
상조내구제
[박도 기자]▲ 김대중 망명일기김대중 망명일기 표지ⓒ 한길사 바야흐로 문자 그대로 '삼복 염천'이다. 지난 22일은 일 년 24 절기 가운데 가장 덥다는 '대서(大暑)'였고, 오는 30일은 삼복 중 가장 더위가 절정이라는 중복이다. 24일 낮 시간에는 치악산 계곡에서 시원케 지내다가 해거름 때 집으로 돌아오자 우편 집배원이 문 앞에 책 한 권을 떨어뜨리고 갔다. 발신인을 보자 김홍걸 전 의원이었다. 포장지를 뜯자 아담한 청색 표지를 입은 <김대중 망명일기>란 예쁜 장정의 책이었다. 발행 일자를 보니 7월 22일 자로 아마도 인쇄소에서 갓 배달된 따끈한 책을 김 의원이 받자마자 내 집으로 곧장 우송한 것 같다. 올해(2025) 연초, 김 의원의 초대로 점심 식사를 나누는 자리에서 그는 낡은 수첩 두 권을 내밀었다. 지난해 늦가을, 아버지의 서재를 정리하는데 비로소 발견했다면서. 김 의원은 그 수첩들이 삼엄했던 박정희 대통령의 유신 정국 당시, 일본과 미국에서 체류 중 쓰신 '망명 일기'로 보인다면서 내게 1차 교열을 부탁했다. 내 분수도 모른 채 덥석 받아왔다. ▲ 유세 중의 김대중정치인 김대중은 100만 청중을 운집시키는, 한국 정치사에서 현재까지 전무후무한 달변가였다. 서울 장충단 공원에서 유세 후 김대중 부부가 백만 청중의 환호에 답하고 있다(1971, 4, 18.)ⓒ 김대중 이희호기념사업회동년배로 비슷했던 전력의 두 분집에 돌아와 그 수첩을 펼치자 김대중 대통령의 필체와 문장은 나의 아버지와 너무나 흡사했다. 그 글들을 읽는 동안 생전에 아버님이 나에게 보낸 수많은 편지를 다시 읽는 느낌과 함께 아버지에게 불효했던 일들이 떠올라 송곳으로 내 가슴을 찌르는 듯 아팠다. 김대중 대통령(1924년)과 나의 아버지 박기홍(朴基弘, 1926년)는 거의 동년배로 두 분 경력도 비슷했다. 두 분 모두 상고(목포상고 / 도쿄 주계상고) 출신에다가 젊은 날 해운업(목포해운공사 / 부산 소재 대한해운공사)에 종사했고, 두 분 다 뒤늦게 정계에 입문을 하여, 1958년 민주당 공천으로 강원도 인제(김대중)와 경북 선산(박기홍)에서 출마하여 낙선을 한 뒤, 민주당 신파 소속으로 장면 총리 공관을 드나들었던 정객이었다. ▲ 민주당 공천장 ◇2025 폐광지역 발전포럼 제2회의가 24일 정선 하이원리조트에서 ◇이용규 정선 남면·신동지역 공동추진위원회 기획실장 △이용규 정선 남면·신동지역 공동추진위원회 기획실장 = 폐광지역 개발 지원법이 시행된 지 30년이 지났지만, 그동안 정부는 단 한 번도 정책에 대한 백서를 발간한 적이 없다. 수조 원이 넘는 예산이 투입됐지만 어디에 얼마를 썼는지 외에, 낙후지역 경제 활성화·균형발전이라는 법의 목적 달성 여부를 따져볼 수 있는 공식 문서는 없었다.2017년 독일 에센은 ‘회색에서 녹색으로’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유럽의 녹색 수도로 선정됐다. 탄광 도시였던 에센은 폐광 이후 도시 재생과 환경 전환을 동시에 이뤄냈다.강원지역 간 결속을 이끄는 상징적 슬로건 하나조차 우린 없었다. 폐광지역 4개 시·군은 각자 따로 움직일 뿐, 공동 대응이나 상생 프로젝트는 거의 전무했다.향후 이용자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식의 녹색 교통 시스템을 제안한다. 강원 남부는 백두대간을 낀 생태환경을 갖추고 있어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 ◇김광태 삼척시도계읍번영회장 △김광태 삼척시도계읍번영회장=폐광지역에 대한 정부의 정책은 30년째 제자리걸음이다. 산업 전환을 위한 수많은 논의와 포럼, 용역이 이어졌지만, 정작 지역의 실정과 절박함을 담아내는 정책은 거의 없었다. 특히 정부는 지금까지 한 번도 폐광지역의 실상을 진단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데 있어 책임 있는 주체로 나선 적이 없었다고 본다.석탄산업이 사실상 끝난 지금 마지막 광산이 있는 도계가 맞이한 이 절박한 현실에 정부는 침묵하고 있다. 만약 과거에 지역 주민들이 제시한 대안이 제때 반영됐더라면 지금처럼 고립되진 않았을 것이라는 회한도 있다.강원랜드의 발전도 곧 지역과 직결된 문제다. 그러나 오늘날 강원랜드가 과연 ‘폐광지역을 위한 기업’인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글로벌 복합리조트를 지향하면서도 지역의 사회성과 공동체 회복에는 여전히 소극적이다. 오사카, 마카오 같은 도시들이 복합리조트 경쟁력을 확보한 배경엔 ‘규제 개혁’이 있었다. 현 상태로는 강원랜드가 글로벌 리조트로 경쟁력을 가질 수 없다.폐광지역의 지속가능성도 결국 지역과 정부, 기업 모두의 책임 속에서 출발해야 한다. ◇안태섭 영월군이장연합회장
상조내구제
댓글목록 0
댓글 포인트 안내